본문 바로가기

역사

어떻게 왜 만들었을까…경이로운 신라 금박유물 '미스터리'(종합)

"불가사의·공예기술의 극한" 평가 나올 만큼 세밀한 문양

학계, 제작 기법·용도 주목…조사단 "쇠붓 사용·종교 공헌물" 추정

© 제공: 연합뉴스금박에 머리카락보다 가늘게 그린 8세기 화조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이건 도저히 못 할 것 같아요. 레이저 같은 현대 장비로 제작할 수 있는지도 실험해 봐야 알 수 있을 겁니다. 이렇게 섬세한 무늬는 현미경을 보고 해도 못 만들어요. 불가사의할 정도의 작업입니다."

국가무형문화재 조각장 김용운 보유자는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나온 8세기 신라 유물 '선각단화쌍조문금박'(線刻團華雙鳥文金箔)에 대해 "현대 장인도 실물 재현이 불가능한 작품"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16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한 가로 3.6㎝, 세로 1.17㎝ 유물은 종이처럼 얇은 0.04㎜ 두께 금박에 머리카락보다 가느다란 0.05㎜ 선으로 새 두 마리와 꽃을 표현한 것이다. 약 20m 거리에서 유물 두 점이 각각 출토됐다가 보존처리를 거쳐 하나로 합쳐졌다. 크기는 성인 손가락 두 마디 정도다.

© 제공: 연합뉴스정밀한 신라 금박유물 '선각단화쌍조문금박'

금박 유물을 본 전문가들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 문양을 경이롭게 새겨 넣었다는 점에서 "매우 정교한 예술품", "공예기술의 극한"이라고 평가했다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는 정교한 금속공예품 가운데 청동기시대 다뉴세문경(잔무늬 청동거울)은 선 굵기가 0.22㎜, 황룡사지 금동제 봉황장식은 꽃잎 내부 선 굵기가 0.1㎜다. 동궁과 월지 금박 유물이 이 유물들보다 훨씬 정교하다.

한정호 동국대 교수는 금박 유물을 '금으로 만든 종이에 그린 초정밀 신라 회화'로 정의하면서 "세계 고대 유물 중에 이렇게 문양을 정교하게 넣은 사례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첨단 장비가 없는 상황에서 신라인들은 어떻게 머리카락 절반 굵기로 그림을 그렸을까.

이한상 대전대 교수는 "기본적인 도안을 구성한 뒤 드로잉을 하고, 그 선에 맞춰 문양을 새겼을 것"이라고 짚었다.

어창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제작 도구가 정인지, 끌인지, 아니면 철필(鐵筆·끝부분이 철로 된 쇠붓 같은 펜)인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다"며 "재현 실험 결과를 보면 일반적인 바늘보다 얇은 철필로 작업했을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제작 기법은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지만, 유물이 작고 문양이 워낙 세밀해 구체적인 실행 방식은 미스터리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경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선덕여왕이 사용한 화주(火珠·보배로운 구슬)라는 설이 전하는 분황사 모전석탑 출토 수정을 언급하면서 "수정이 볼록렌즈 같기는 하지만, 확대경 같은 유물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누가 어떻게 문양을 완성했는지는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어 연구관도 "분황사 수정은 학계에서 돋보기로 단정하지 않고 있다"며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 맨눈으로 그리기에는 너무 미세하다"고 주장했다.

© 제공: 연합뉴스신라 금박유물 '선각단화쌍조문금박'

신라 금박 유물에 얽힌 또 다른 의문은 용도다. 기물에 붙인 장식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사용처에 대해서는 전문가들도 확언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순금으로 만든 장식물인 만큼 귀중하게 사용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에는 대부분 동의했다.

주경미 충남대 강사는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물품의 손잡이 같은 곳에 마구리(길쭉한 물건의 머리 면) 장식으로 부착한 것 같다"고 주장했다.

한 교수는 "커다란 금박에 문양을 새기고 일부만 오려낸 것이 발굴조사로 발견된 듯하다"며 "용도는 학계가 함께 고민하고 풀어야 할 숙제"라고 말했다.

김 연구사는 "금박 유물 뒷면에서 칠(漆) 같은 이물질은 나오지 않았다"며 "문양이 육안으로는 거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남에게 과시하거나 단순히 무언가를 장식하기 위한 용도보다는 종교나 비현실적인 이상향과 관련된 공헌물이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 제공: 연합뉴스정밀한 신라 금박유물 '선각단화쌍조문금박'

유물 출토 지점인 동궁과 월지는 신라 별궁터다. 월지는 안압지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왕자가 거처하는 동궁이자 손님을 맞이하는 연회 공간으로 사용됐다고 전한다.

주 강사는 "통일신라시대 왕실은 매우 화려한 물품을 사용했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다고 기록돼 있지만, 정작 불교 유물을 제외하고 화려한 생활용품은 많이 발견되지 않았다"며 "금박 유물은 8세기 신라 왕실 생활상을 보여주는 사실상 현존하는 유일한 금박 제품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psh59@yna.co.kr

 

 

어떻게 왜 만들었을까…경이로운 신라 금박유물 '미스터리'(종합)

"불가사의·공예기술의 극한" 평가 나올 만큼 세밀한 문양 학계, 제작 기법·용도 주목…조사단 "쇠붓 사용·종교 공헌물" 추정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이건 도저히 못 할 것 같아요. 레이

www.msn.com